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美中 무역 합의로 印 관세 우위 약화...'차이나 플러스 원'에 불리"

코투선 0 3

[방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긴장이 완화되면 인도의 관세 우위가 약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에도 차질이 빚어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12일(현지 시간) 파이낸셜 익스프레스는 미국이 중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145%에서 30%로 인하함에 따라 글로벌 기업들의 생산 기지 이전 움직임이 둔화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또한 미국 구매자에 대한 공급 약속 이행을 위해 인도 산업계에 접촉했던 중국 기업들도 인도 기업과의 협업을 재고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인도 엔지니어링 수출 진흥 위원회(EEPC)의 판카즈 차다 위원장은 "중국은 일부 인도 제조업체들이 공급할 수 있도록 자재와 기술 지원을 제공하겠다고 제안했다"며 "중국 측 공급업체, 미국 구매자들과 논의 단계에 있었지만 이제는 그 과정이 상당히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미중 양국은 지난 10~1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고위급 무역 협상을 통해 90일 동안 상대국에 대한 관세를 115% 포인트씩 내리는 데 합의했다. 이에 따라 미국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종전 145%에서 30%로, 중국은 미국산 수입품에 매기는 관세율을 기존 125%에서 10%로 인하해 14일부터 적용한다.

미국은 인도에 대해 당초 26%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지만 90일간의 유예 기간을 두면서 현재 10%의 관세율이 적용되고 있다.

인도 싱크탱크 글로벌 무역 연구 이니셔티브(GTRI)의 아자이 스리바스타바 소장은 "관세 격차가 좁혀짐에 따라 베트남과 인도, 멕시코 등으로 생산 기지를 이전할 계획이었던 기업들이 다시 중국으로 돌아갈 수 있다"며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이 사라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스리바스타바는 "저투자 조립 작업이 당장은 인도에 남을 수 있지만 진정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심층 제조업은 정체되거나 중국으로 돌아갈 수 있다"며 "투자자들이 미국의 변화를 지켜보고 있는 상황에서 인도가 경쟁 우위를 확보하지 않는다면 많은 투자자들이 투자를 주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수출기구연합(FIEO)의 S.C. 랄한 회장은 "관세 인하로 전자·기계·화학 등 고부가가치 분야에서 미중 양자 무역이 급증할 수 있다"며 "이로 인해 인도 수출업체들은 동남아시아·아프리카·중남미 등 제3 시장에서 더 치열한 경쟁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17471298602973.jpg
중국 오성홍기와 미국 성조기. [사진=로이터 뉴스핌]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