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GAM] ① 중동 정복 나선 디즈니, 모든 사업부 매출 성장에 월가 환호

코투선 0 3

이 기사는 5월 9일 오후 4시58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김현영 기자 = 월트 디즈니(종목코드: DIS)의 눈부신 반격이 진행 중이다. 디즈니는 지난 분기 실적이 월가 예상을 크게 상회한 가운데 아부다비에 새로운 테마파크를 건설할 계획을 발표하면서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글로벌 확장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중동 진출 계획과 견조한 실적 발표 후 7일(현지 시각) 디즈니 주가는 10% 이상 급등하며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를 끌어 올렸다.

17470614586581.jpg
월트디즈니 로고 [사진=블룸버그통신]

거시경제적 불확실성과 치열한 경쟁 속에서 경영진이 익스피리언스(Experiences, 체험) 부문과 스트리밍 서비스에 집중함에 따라 월가 애널리스트들은 디즈니의 성과를 면밀히 주시해 왔다. 디즈니는 아부다비에 새로운 테마파크를 짓는 것을 포함하여 고품질 콘텐츠 및 글로벌 확장에 대한 전략적 투자를 단행하고 있고, 회사의 성장 궤도 강화를 목표로 하는 이 같은 행보에 시장은 반색하고 있다.

◆ 예상 뛰어넘은 2분기 실적...모든 사업 부문 호조

디즈니는 2025회계연도 2분기(3월 29일 마감)에 조정 주당순이익(EPS)이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한 1.45달러를 기록했다고 지난 7일 발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인 1.21달러를 훌쩍 웃도는 수치다. 익스피리언스 부문의 성장과 특히 스포츠 부문 광고 매출 증가(29%)가 강력한 실적을 견인했다.

2분기 총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한 236억2000만 달러로, 월가 예상치 231억3000만 달러를 넘어섰다. 특히 주목할 점은 지난 분기 모든 사업 부문에서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는 점이다. 사업 부문별로 엔터테인먼트(방송·영화·스트리밍 등) 매출이 106억8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9% 증가했다. 스포츠 부문 매출은 45억3000만 달러로 5% 늘었고, 테마파크와 크루즈 사업을 아우르는 익스피리언스 부문의 매출은 88억9000만 달러로 6% 증가했다.

17470614590197.jpg
디즈니+ 모바일 플랫폼 [사진=블룸버그]

이번 호실적의 핵심 배경은 DTC(직접판매) 스트리밍과 익스피리언스 부문 호조다. 고품질 콘텐츠 제작과 테마파크에 대한 회사의 전략적 투자가 빛을 발했다. 실적 발표를 앞두고 애널리스트들은 경기 약세에 취약한 것으로 여겨지는 테마파크와 스트리밍 부문을 우려했다. 하지만 디즈니의 스트리밍 서비스인 디즈니+ 가입자 수와 테마파크 예약에서 긍정적인 모멘텀이 나타나며 경쟁 심화와 경기 약세 우려를 완화했다.

DTC 스트리밍은 가입자 성장, 가격 인상, 광고 수익화, 번들 전략을 통해 완연한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특히 디즈니+ 가입자가 전 분기 대비 소폭 감소할 것이라는 우려와 달리 전분기 대비 140만명 증가해 누적 가입자가 1억2600만명을 달성했다. 이는 '모아나 2', '무파사: 더 라이온킹', 마블의 '데어데블: 본 어게인'과 같은 인기 콘텐츠들의 스트리밍 공개 효과로 분석되고 있다.

실적 발표 후 바클레이스의 카난 벤카테시와르 애널리스트는 "디즈니는 다른 미디어 기업들에 비해 구조적 위험이 가장 적고 스트리밍 사업에서 가장 큰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진단하면서 '비중 확대' 투자의견과 목표주가 115달러를 재확인했다.

벤카테시와르 애널리스트는 "상반기 실적과 연말까지의 가이던스는 투자자들이 디즈니의 성장 궤도에 대한 확신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전반적으로 우리는 분명한 거시경제 익스포저에도 불구하고 디즈니가 우리가 분석하는 기업 중 가장 매력적인 투자처 중 하나라고 믿는다"고 밝혔다.

2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44억4000만 달러로, 시장 예상치인 39억8000만 달러를 크게 웃돌았다. 스포츠 부문 영업이익은 6억8700만달러로 11% 감소했으나 엔터테인먼트 부문의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61% 늘어난 12억6000만달러를 기록했다. 익스피리언스 부문도 25억달러로 9% 증가했다.

◆ 연간 전망 상향 조정..."두 자릿수 성장 이어질 것"

디즈니는 지속적인 운영 효율성과 전략적 이니셔티브에 대한 확신을 반영하여 2025회계연도 주당순이익(EPS) 가이던스를 5.30달러에서 5.75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전년 대비 16% 성장을 의미하는 수치로, 이전 전망치인 '한 자릿수 후반 성장'에서 크게 개선된 것이다.

경영진은 더 나아가 2026회계연도와 2027회계연도에도 전년 대비 두 자릿수 EPS 성장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했다. 이는 DTC에서 발생하는 수익 증가, 스포츠 부문의 부활, 테마파크 부문의 꾸준한 성장, 새로운 크루즈 선박 도입 등에 의해 주도될 것으로 예상된다.

17470614593639.jpg
밥 아이거 디즈니 CEO [사진=블룸버그]

밥 아이거 디즈니 최고경영자(CEO)는 콘퍼런스 콜에서 "우리는 과거 어느 때보다 수억 명의 사람들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며 글로벌 확장에 대한 자신감을 표명했다. 아부다비 테마파크를 포함한 중동 진출은 글로벌 확장 전략의 핵심 요소가 될 전망이다. 이외에도 디즈니는 하반기 ESPN DTC 서비스 출시와 '주토피아2', '아바타4' 등 글로벌 흥행이 기대되는 새로운 영화 개봉을 통해 추가 성장을 도모할 계획이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 증권의 제시카 라이프 엘리치 애널리스트는 디즈니에 '매수' 투자의견과 함께 목표주가를 140달러로 유지하면서 "최근 경기 우려를 감안할 때 디즈니의 가이던스 상향 조정은 고무적"이라고 평가했다. 엘리치는 디즈니 주식의 단기 촉매제로 "DTC 부문의 수익성 전환, 테마파크 사업의 재가속화, 다른 사업(DTC, 테마파크, 소비자 제품)을 견인하는 강력한 영화 라인업"을 꼽았다.

▶②편에서 계속됨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