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中 기업, 해외 부품 줄이고 국산으로 신속 대체...자력갱생 강화

코투선 0 2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미·중간 무역 갈등으로 중국 기업들이 부품 공급망을 미국 등 외국업체에서 자국 업체로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현지시간 11일 보도했다.

신문은 미·중 무역 전쟁이 세계 최대 경제대국간 '디커플링'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이 중국에 최고 14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한 이후 중국 선전과 상하이 증시에 상장돼 있는 반도체, 화학제품, 의료기기 등 24개 이상 중국 기업은 '외국산 부품을 국산품으로 바꾸는 노력을 배가하고 있으며 현지 조달에 따른 이익이 예상된다'고 투자자들에 공시했다.

중국 유수의 로봇 기업인 에스턴 오토메이션 (ESTUN Automation, 埃斯顿)은 지난달 연례 투자자 보고서를 통해 "원자재의 국내 자급력을 높이기 위해 우리 자체의 공급망을 최적화할 뿐만 아니라 외국 업체와 거래하던 주요 고객사를 신속히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기업의 한 임원은 "현지화 확대로 비용이 절감홰됐다"며 "무역전쟁발 불안은 물론이고, 글로벌 경제가 불안정해 공급업체를 바로 대체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영 비상장비제조업체인 차이나하존인더스트리(China Harzone Industry Corp) 역시 투자자들에 국내 대체 공급망을 적극 물색해왔으며 북미에서 조달하는 일부 부품의 중국내 조달 비율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나아가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남미 수출을 주력하는 쌍순환 모델을 개발할 것을 약속했다.

국산화 기조 강화는 동시에 제 3국 공급업체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랴오닝성의 실리콘 재료 공급업체 신콘 세미컨덕터(Thinkon Semiconductor, 神工股份)도 리스크 관리를 위해 외국 공급망을 축소할 것이라고 투자자들에 밝혔다. 이 회사의 한 임원은 미국 제품을 수입하지 않으며 일본, 한국, 유럽에서 들여오는 화학시료를 국내 조달로 대체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중부 후난성의 베어링제조회사 후난 선드 테크놀리지(Hunan SUND Technological Corp)측은 "제조업체들이 중국의 보복관세로 스팀 및 가스 터빈에 사용하는 미국산 베어링 수입을 포기하고 있으며 우리에게 베어링 생산을 늘려줄 것을 요청했다"고 전했다.

중국 기업들의 이러한 움직임은 임시방편이 아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야기한 무역 전쟁의 충격이 지속될 것으로 보고 중국 기업들은 공급망을 영구적으로 재편하고 있다고 FT는 전했다.

중국 정부는 오랫동안 중국 제조업을 키우는 '중국제조(Made in China) 2025' 및 선별적으로 글로벌 유대를 유지하면서도 경제적 독립을 강화하는 시진핑 주석의 이른바 '쌍순환(dual circulation,國內國際雙循環) 전략' 등 산업 자립 정책을 추구해왔다.

미국의 대중 관세 공세로 이 같은 정책의 추진력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중국 정부는 미국산 수입품에 최고 125%의 보복관세를 부과하는 한편 지정학적 타격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기업이 자구책을 세우도록 유도하고 있다.

로듐 그룹의 애널리스트로 '중국제조(Made in China) 2025'에 대한 보고서를 쓴 카밀 불레누스는 "중국 기업이 트럼프 관세로 보다 더 자립형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분석했다.

FT는 중국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정부는 현 무역 갈등은 그동안 추진해온 자립정책의 타당성을 반증하고 중국이 최근 미국의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것도 그 같은 정책에 기안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한 소식통은 "중국은 이제 미국이나 서방이 없이도 생존할 수 있고 트럼프의 무역 관련 요구에 맞설 수 있는 힘을 가지게 됐다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중국 주재 유럽연합(EU) 상공회의소는 최근 보고서에서 "중국제조 2025 정책은 중국 제조업체가 현재 앞서고 있는 전기차, 조선, 레일 장비 등 산업에서 성공했다"고 평가하면서 "일부 산업에서는 투자 비효율과 과다생산을 야기해 교역 상대국과 긴장관계를 유발했다"고 지적했다.

17470254590372.jpg
중국 반도체 이미지 [캡쳐=바이두]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