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GAM] ①발레로, 유가 하락에도 이익 급증 태세…압도적 매수론

코투선 0 5

이 기사는 5월 7일 오후 4시08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올해 들어 원유 시세가 가파르게 하락해 에너지 업계에 악재가 되는 상황에서 미국 정유회사 발레로에너지(종목코드: VLO)는 이익 급증이라는 순풍에 돛을 올릴 준비를 하고 있다. 원유 수급을 둘러싼 초과 공급 관측에도 불구하고 정제유의 공급 여력은 수요에 비해 제한적인 여건이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1. "주가 하락, 기회"

발레로의 주가는 현재 117달러(6일 종가)로 올해 들어 5% 하락 중이다. 같은 기간 6% 떨어진 에너지 업계(S&P500 에너지 업종 상장지수펀드인 XLE 기준)와 보폭을 맞추며 부진을 보이는 모양새다. 서부텍사스원유(WTI) 가격이 1월 연중 최고가인 80달러에서 내리 하락해 현재 59달러까지 낙폭이 25%를 넘어서는 등 원유 시세가 하락한 영향이다.

17467581553391.jpg

올해 원유 가격의 하락은 산유국의 생산 확대와 수요 둔화 우려가 동시에 발생했기 때문이다. 미국의 세계 각국을 대상으로 한 관세 조치가 수요 둔화 염려를 불러온 가운데 산유국 협의체인 오펙플러스(OPEC+)가 종전의 감산 축소폭을 크게 확대해 공급 확대의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사우디아라비아 등이 점유율 방어를 위해 전략적인 방향 전환 시도에 나섰다는 해석이 나온다.

월가에서는 유가 하락의 급류에 휩쓸려 주가가 덩달아 떨어진 발레로를 두고 투자 매력도가 커졌다는 분석을 제시하고 있다. 공급 확대 관측이 나오는 원유와 다르게 정제유 등 연료 시장의 수급은 긴축적인 상황이 지속돼 정제 마진의 향상이 전망되는 점을 배경에 두고 있다. 발레로는 미국 정유업계에서 점유율 2위로 추정되는 메이저 업체로 정제 마진 개선의 혜택을 비교적 크게 누릴 수 있다.

원유를 휘발유나 경유, 항공유 등으로 전환하는 정유회사는 정제 마진으로 불리는 원유 가격과 연료값의 차이가 이익의 핵심 원천이다. 유가가 하락해도 정제유 수요가 많아 가격이 유지되면 이익이 증가한다. 매출 자체는 원유 시세 동향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유가가 하락하면 시장 경쟁과 소비자 기대로 최종 제품가격도 하향될 수밖에 없어서다. 다만 하향폭은 원유 시세 낙폭보다 완만한 경향이 있어 비대칭적이다.

2. "수급 긴축 당분간 계속"

정제유 수급은 올해 이후에도 긴축적인 여건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미국과 유럽 모두에서 정제유 수요는 비교적 강세를 유지 중인데 시중의 원유를 정제할 수 있는 정유소는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라고 한다. 올해 정유소가 신규 개소 수만큼 폐쇄돼 공급이 부족한 상황으로 파악됐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미국 정유 생산량은 올해 하루 19만배럴, 내년 18만배럴 각각 감소가 전망된다.

17467581557477.jpg
미국 캘리포니아주 베니시아에 있는 발레로 정유시설 [사진=블룸버그통신]

정제유 생산량 감소 전망의 주된 이유로 거론되는 시설 폐쇄는 종전의 정제 마진 축소로 인한 수익성 악화의 이유가 크다. 또 앞서 전기차 보급 확대나 친환경 정책의 강화로 인해 정제유의 중장기 수요가 줄 것이라는 관측이 대두되자 업계에서 전략적으로 사업 재편을 단행한 배경도 있다. 악재로 읽힐 수 있는 수익성 악화와 시설 폐쇄라는 변화가 역설적으로 긍정적인 마진 환경을 조성한 셈이다.

현재 미국의 휘발유 재고는 5년 평균 범위의 하단 수준을 기록 중이고 서부 해안에서는 12년 만에 최저치로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서부 해안, 특히 캘리포니아는 엄격한 환경 규제로 인해 공급원이 제한적이다. 반면 EIA 전망에 따르면 미국 정제유 소비는 올해와 내년 모두 완만한 증가세가 예상된다. 올해는 하루 평균 2038만배럴(작년 2031만배럴)이 내년에는 2049만배럴이 각각 전망된다.

당분간 정제 마진은 개선된 상태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원유 가격과 휘발유 도매가격 간의 격차로 본 정제마진은 연초 13달러에서 지난달 말 27달러로 확대됐다. 장기적으로 2022년의 50달러대와 같은 수준으로의 회복은 힘들어도 내년에도 안정적인 상황을 지속할 것이라는 관측이 뒤따른다. 공급 여력이 제한적이라는 관점에서다.

▶②편에서 계속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