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GAM] ①'대만달러 쇼크' 함의, 亞 달러편중의 취약성

코투선 0 2

이 기사는 5월 8일 오후 4시45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최근 미국 달러화 약세의 장기화 관측 속에서 전개된 대만달러의 이례적인 급등세는 아시아 금융시장에 중대한 시사점을 지닌 것으로 평가된다. 이른바 '대만달러 쇼크'로 불리는 대만달러의 급변동은 시장 참여자들의 추측과 민간 부문의 선제적인 달러 매도로 시작해 대만의 달러 편중 자산 구조를 둘러싼 경계감으로 급히 확산했다.

17466915576379.jpg

대만달러 가치의 최근 급변동은 단순한 지역적 현상을 넘어 아시아 경제권의 달러 자산 구조의 재조정 관측에 불을 지핀 사례라는 해석이 나온다. 장기간 달러를 축적한 관련국들이 달러 약세의 장기화 전망 속에서 손실 최소화를 위해 보유 자산의 조정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한층 고조된 가운데 관련국의 급격한 통화가치 상승의 위험도 함께 커졌다는 분석이 뒤따른다.

1. 대만달러 쇼크

지난주 2일과 5일 이틀에 걸쳐 전개된 대만달러 가치의 폭등세는 현지 은행들의 달러 매수 실종을 둘러싼 추측이 방아쇠가 됐다. 미국 달러당 대만달러 가치의 상승폭은 5일 29.17대만달러까지 이틀 동안 9%를 넘었다. 통상 대만달러는 변동성이 낮고 비교적 적극적으로 관리되는 통화로 알려져 있어 이러한 급격한 상승폭은 통념을 벗어난 이례적 현상으로 간주된다.

1746691557989.jpg
대만달러 지폐 [사진=블룸버그통신]

대만달러 가치는 이미 지난달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나타난 달러화 약세 현상을 반영해 4% 상승한 상황이었다. 지난달에도 중앙은행이 대만달러의 급격한 절상을 억제하려고 개입에 나선 적이 있어 개입 지속이 보편적 견해였다. 대만 중앙은행은 통상 자국 통화의 급격한 절상을 방지하기 위해 직접 시장에 나서기보다 현지 은행을 통해 달러를 매수하는 방식으로 개입해 왔다.

하지만 2일 관련 매수 주문이 실종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대만 당국이 미국 정부와의 무역협상 결과에 따라 통화가치의 절상을 용인했다는 관측이 있었다. 중앙은행이 협상 결과에 따라 환율 관리를 유보했다는 인식이 확산하자 추가적인 달러 약세 추세를 인식한 수출업체들이 환손실을 최소화하고자 달러 매도에 나섰다. 중앙은행의 비개입을 둘러싼 추측과 민간 매도가 초기 충격의 원인이 된 셈이다.

2. 불안감 증폭

불안감을 증폭시킨 것은 대만 금융기관이 보유한 달러 포지션에 대한 외환시장의 인식이다. 대만 금융기관들의 환헤지 비율은 최근 수년 사이 미국과의 금리 차이 등에 따른 환차익 기대감으로 계속 줄어 달러화 약세 위험에 대한 노출도가 커진 상황이었다. 금융기관들이 대규모 신규 환헤지 거래에 나서든 포지션 자체를 축소(청산)하는 방향이든 손실을 최소화하려고 달러를 매도해 대만달러 강세를 유발할 것이라는 관측이 확산한 것이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대만 현지 투자자들의 환헤지 비율은 2021년 말 75~80%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으나 작년 말 50~55%로 낮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또 현지 투자자 중에서 해외 자산 규모를 가장 많이 보유한 대만 생명보험사의 관련 규모는 약 7000억달러, 이 가운데 대부분이 미국 국채와 회사채에 투자된 것으로 추산된다. 이 중 1600억달러가 환헤지가 안 돼 환율 변동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파악된다. HSBC는 대만 생보사의 해외 자산에서 환헤지가 안 된 비율을 60% 미만으로 별도 추산했다.

17466915583011.jpg

공적 부문 등 경제 전체로 확대하면 대만의 달러 매수 포지션은 더 커진다. 골드만삭스에 의하면 현재 대만에는 약 3000억달러의 외화예금이 있고 환헤지가 안 된 미국 채권(투자증급 회사채) ETF 투자금 규모는 1000억달러로 조사됐다. 또 대만 중앙은행의 5800억달러 외환보유고 중 80% 초과분이 미국 국채에 투자돼 있다고 한다. 종합적으로 산출하면 대만의 달러 포지션은 1조달러가 넘어 국내총생산(GDP) 대비 126%에 달한다.

3. 달러 편중I

트럼프 행정부 들어서 두드러는 달러 약세가 장기화한다면 달러 자산 비중이 큰 대만은 상당한 경제적 압력을 받을 수밖에 없다. 달러 가치의 추세적 하락은 금융기관의 대규모 평가손실 등으로 이어져 금융 안정성을 저해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대만은 불가피하게 달러 자산 의존도 축소라는 구조적 전환의 선택지를 선택할 가능성이 있다. 대만달러의 추가 강세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②편에서 계속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