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 ① 텐센트와 손잡은 포니 AI, 로보택시 수익성 '청신호'에 주가 폭등

이 기사는 4월 29일 오후 4시51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김현영 기자 = 중국의 자율주행 기술 기업 포니 AI(종목코드: PONY, 샤오마즈싱·小馬智行)가 28일(현지 시각) 뉴욕증시에서 60% 넘게 상승하며 놀라운 폭등세를 기록했다. 지난해 11월 나스닥에 상장한 포니 AI의 주식예탁증서(ADR) 가격은 28일 장중 11.35달러로 일시 61.91% 치솟았다가 오름폭을 47.22%로 줄인 10.32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중국 빅테크 기업 텐센트 홀딩스(TCEHY, 0700.HK)와의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과 로보택시 제작 원가를 크게 절감하여 수익성 달성 기대감을 높인 점이 호재로 작용했다. 지난주 상하이 모터쇼(상하이 국제 자동차 산업 전시회)에서 공개된 포니 AI의 최신 자율주행 시스템은 기존 대비 70% 낮은 비용으로 제작 가능하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 |
포니 AI의 자율주행 로보택시 [사진=업체 홈페이지] |
◆ 텐센트와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포니 AI는 자율주행 기술을 한층 발전시키고 로보택시 서비스의 상용화를 가속하기 위해 텐센트의 클라우드 사업부인 텐센트 클라우드 앤드 스마트 인더스트리 그룹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포니 AI는 자사의 자율주행 로보택시 호출 서비스를 텐센트의 '웨이신(Weixin, 위챗) 모빌리티 서비스' 플랫폼과 디지털 매핑 도구인 '텐센트 맵'과 같은 애플리케이션에 통합할 예정이다.
![]() |
포니 AI, 텐센트와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사진=포니 AI 홈페이지] |
중국 선전에 본사를 둔 대형 기술 기업 텐센트와의 파트너십 체결은 포니 AI가 텐센트와 같은 거대 기업에 자율주행 기술력과 유용성을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양사의 협업은 포니 AI가 더 많은 고객을 확보하고 매출 성장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① 자율주행 기술과 클라우드 역량 결합
제임스 펭 포니 AI 최고경영자(CEO)는 보도자료에서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금전적 조건 없이 텐센트의 방대한 사용자 기반을 활용함으로써 상용 로보택시 배포를 가속화할 수 있게 되었다"면서 "조만간 중국의 일부 도시에서 시험 운영을 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는 대규모 상용화를 향한 포니 AI의 여정에 중요한 이정표를 찍은 셈이다.
![]() |
제임스 펭 포니 AI 최고경영자(CEO) [사진=CNBC 방송 캡처] |
펭 CEO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두 회사는 "꽤 오랫동안 협상을 진행해 왔다"며 포니 AI가 확장하는 과정에서 '윈윈' 협업을 뒷받침하는 요소로 텐센트의 방대한 사용자 기반과 클라우드 서비스를 꼽았다. 그러면서 이번 파트너십 체결에 따라 "가까운 미래에 사용자들이 위챗 앱을 통해 포니 AI 로보택시를 바로 호출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샹핑 텐센트 그룹 부사장 겸 텐센트 스마트 모빌리티 사장은 "양사 간의 전략적 파트너십은 서로의 기술과 자원을 보완할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공동 혁신을 위한 새로운 출발점이 될 것"이라면서 "포니 AI는 업계 최고의 자율주행 기술을 축적해 놓았으며, 텐센트는 클라우드 서비스, 지도 데이터(매핑), 지능형 조종석(콕핏) 생태계 기술에서 탁월한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② L4 자율 주행 분야에서 협력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양사는 특히 레벨4(L4) 수준의 자율주행 분야에서 로보택시의 개발, 테스트, 운영에도 협력할 예정이다. 포니 AI는 23일 상하이 모터쇼에서 7세대 L4 로보택시 솔루션을 선보였다. L4는 지정된 구역에서 운전자가 도로에서 눈을 뗄 수 있는 자율 주행 단계이다. 이와 달리 L3는 운전대에서 손을 떼는 핸즈오프는 가능하지만 운전자가 차량을 적극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언제든 운전대를 잡을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 |
포니 AI의 자율주행 차량 [사진=업체 홈페이지] |
티엔청 로우 포니 AI 공동 설립자 겸 최고기술책임자(CTO)는 "L4 시스템의 안전 요구사항은 본질적으로 인간 운전자보다 높으며, 이는 단순히 인간 행동을 모방하는 것만으로는 달성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로우는 포니 AI의 독점적인 가상 시뮬레이션 플랫폼인 포니월드가 "현실적인 시나리오를 생성하고, 고정밀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며, 행동 평가 벤치마크를 설정하여 자율주행 시스템의 의사 결정이 인간의 능력을 넘어설 수 있도록 한다"고 강조했다.
③ 포니월드와 시뮬레이션 플랫폼 강화
포니 AI는 텐센트의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AI 분야의 핵심 역량을 활용하여 포니월드의 성능을 개선할 계획이다. 양사는 대규모 모델 훈련부터 실제 배포까지 자율주행 차량 개발의 전체 수명 주기를 지원하는 고성능 테스트 및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공동 개발한다는 구상이다. 이는 포니 AI의 자율주행 차량이 향상된 가상 환경에서 훈련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여 극단적인 상황에서의 적응성과 의사결정 정확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 7세대 로보택시 라인업 공개
포니 AI는 지난주 상하이 모터쇼에서 승객 안전과 안정성을 향상하면서 비용을 크게 절감하도록 설계된 최신 자율주행 시스템을 소개했다. 일본 도요타와 중국 자동차 제조사인 베이징 자동차 그룹(BAIC), 광저우 자동차 그룹(GAC)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개발된 세 가지 7세대 로보택시 모델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 |
포니 AI의 7세대 로보택시 모델 [사진=업체 홈페이지] |
도요타와의 오랜 협력은 포니 AI의 최신 7세대 시스템을 탑재한 첫 생산 모델인 도요타 bZ4X 로보택시 출시로 더욱 강화되었고, BAIC와 GAC의 새로운 로보택시 모델인 아크폭스 알파 T5와 2세대 아이온 V 로보택시 모델로 차세대 로보택시 라인업이 완성되었다.
특히 포니 AI는 가장 발전된 자율주행 시스템을 기존 대비 70% 낮은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됐다고 발표해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 원가 70% 절감으로 수익성 개선 '청신호'
자체 개발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통합 솔루션이 강점으로 꼽히는 포니 AI는 자율주행이라는 전도유망한 시장에서 세계 2위 자동차 제조사인 도요타와의 전략적 제휴, 중국과 미국 양국에 걸친 사업 기반, 실제 도로에서 검증된 기술력 등을 바탕으로 고속 성장 중이다. 다만 사업 초기 단계인 만큼 수익성 확보까지는 상당 기간이 소요되고 그 기간을 단축하는 것이 관건이다.
로우 CTO는 "포니 AI 팀이 상용화를 위해 비용 절감과 규모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면서 "비용 절감 덕분에 단위 손익분기점에 더 가까워졌다"고 말했다. 단위 손익분기점이란 새로운 로보택시가 운행 차량에 추가될 때마다 수익이 발생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로우 CTO는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핵심은 소프트웨어 최적화"라고 밝히고 "일례로 동일한 컴퓨팅 파워로 우리 소프트웨어의 성능은 3배 향상됐다"고 말했다. WSJ은 저렴한 생산 비용은 중국 자율주행 기업들이 경쟁적으로 추구해 온 단위 손익분기점 달성을 향한 중요한 발걸음이라고 보도했다.
노무라 애널리스트들은 포니 AI가 로보택시의 부품 비용을 이전 13만7217달러에서 4만1165달러로 절감했다고 추정했다. 번스타인 애널리스트들은 최신 세대 로보택시로 포니 AI가 올해 말까지 손익분기점 목표에 도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실질적인 수익은 차량 대수가 약 5만대에 이르는 앞으로 최소 5년 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②편에서 계속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