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국제기구도 '아메리카 퍼스트'…스며드는 트럼프 관세 파고

[워싱턴=뉴스핌] 백승은 기자 = "IMF를 다시 IMF로 만들어야 한다. IMF는 임무 확장((mission creep)에 시달려 왔다. 기후 변화와 젠더, 사회 문제에 과도한 시간과 자원을 투자하고 있다."
'한미 2+2 통상협의'의 당사자였던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의 국제금융연구소(IIF) 연설 일부다. 베선트 장관은 국제통화기금(IMF)와 세계은행(WB)과 같은 국제기구가 창립 정신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 |
백승은 뉴스핌 경제부 기자 [사진=뉴스핌] 2025.04.29 [email protected] |
베선트의 말은 다양성에 가치를 두지 않는 미국 신정부의 방향과 상당 부분 맞닿아 있다. 다양성이나 기후 위기 대책과 같은 보편적인 가치보다는 미국이 입는 손해를 최소화하는 것에 모든 정책을 집중하는 차원이다.
이 대목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 정책의 명분을 읽을 수 있다. 중국을 비롯한 타국이 미국의 이익을 가져가는 현상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비추고 있는 셈이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미국 워싱턴DC에서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에 참석한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베선트 장관의 발언에 대해 "IMF 총재가 추구했던 것들에 대해 간접적으로 비판을 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최 부총리는 "중국이 자체적으로 내수를 확장하지 않고, 대외 수요에 의존하는 바람에 미국이 피해를 입고 일자리도 뺏긴다는 문제의식이 있다"라며 "(이런 관점에서) IMF나 WB가 중국을 비롯한 많은 개도국들에게 대출을 내주는 것에 대해 돈을 효과적으로 쓰지 않는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국제기구에도 '아메리카 퍼스트' 정신이 확대되는 가운데, 정부의 외교 능력이 어느 때보다 대두되고 있다. 한미 2+2 통상협의를 마친 후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라며 자화자찬하는 메시지를 앞다퉈 냈다. 중요한 건 다음부터다. 한국에 대한 관세 부과 조치 유예를 넘어 폐지가 확정되기 전까지 긴장의 끈을 놓쳐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