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한중일, '트럼프 관세' 공동 대응 구체화 되나

코투선 0 1

[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의 관세 조치에 공동 대응키로 한 한국, 중국, 일본이 구체적인 협력에 나설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은 일본에 협조를 요청하는 친서를 보냈고, 주일 한국 대사는 "한일 양국이 소통을 하고, 서로 상의하면서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 정부가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에게 미국 관세 조치에 대응해 협조를 요청하는 친서를 보냈다고 교도통신이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22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은 리창 국무원 총리 명의 친서를 우장하오 주일 중국대사를 통해 일본 정부에 전달했다.

친서의 구체적인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 등 미국의 보호주의에 공동으로 대항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일본 측에 전달한 것으로 보인다.

교도통신은 "미국과 중국이 서로 관세로 맞대응하며 대립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친서를 통해 일본을 자국 쪽으로 끌어당기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풀이했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중국의 통상 정책을 비판해 왔던 만큼 요청을 신중히 검토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교도는 덧붙였다.

한편, 박철희 주일대사는 22일 니혼게이자이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 대해 "너무 서두르지 않는 편이 좋다. 한국과 일본은 소통을 하고, 서로 상의하면서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일 양국은 자동차·철강 등 대미 수출에 있어 많은 품목이 공통되며, 에너지 수요나 미군의 주둔 비용 부담 등 유사한 과제를 안고 있다.

박 주일대사는 "동맹국인 미국에 등을 돌릴 수는 없다. 치밀하게 준비하고 인내심을 가지고 대화해야 한다"며 "자유무역 체제를 지키기 위해 한일 양국이 보조를 맞출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나아가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등 다자간 자유무역 체제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하며 "비관세 장벽 철폐 등 자유무역 체제의 유지와 발전을 위해 일본이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은 24일 한미 재무·통상 장관 간 '2+2 회의'를 통해 트럼프 정부와 관세 협상을 벌일 예정이다. 회의에는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나서고, 미국 측에선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참석한다.

일본은 지난 16일(현지시간) 미국과 첫 번째 관세 협상을 벌였다. 이 자리에는 예정에 없던 트럼프 대통령이 돌발 등판해 일본 측을 당황케 하기도 했다. 24일에는 가토 가쓰노부 재무상과 베선트 재무장관이 회담을 갖고 환율 문제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17453703261928.jpg
지난달 30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제13차 한일중 경제통상장관회의'에서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가운데)과 무토 요지 일본 경제산업상(왼쪽), 왕 원타오 중국 상무부장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