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GAM] ①TJX, '과잉재고'를 먹고 산다…불경기 반기는 이유

코투선 0 10

이 기사는 4월 4일 오후 3시26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미국 할인판매점 운영 업체인 TJX(종목코드 동일)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폭탄발 경제 역풍 속에서 수혜가 기대되는 종목으로 거론된다. 소비 위축 등에 따라 일반 소매업체의 재고 정리가 시작되면 관련 상품을 염가에 들여와 이문을 남기는 사업 구조 때문이다. 소비 동향에 의존하는 같은 소매업체로 분류됨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불경기가 이 회사에는 기회로 여겨진다.

1. 주식시장 폭락 속 상승

TJX 주가는 현재(4월3일) 125.43달러로 전날 종가보다 0.4% 올랐다 이날은 주가지수 S&P500이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발표에 따른 경제 악화 우려로 하루 5%가량 떨어져 2020년 6월 이후 약 5년 만에 최대 일간 낙폭을 기록한 날이다. 특히 이날 2% 이상 낙폭을 기록한 S&P500 종목 비중이 3분의 2를 넘어 대다수였다는 점에 비춰볼 때 눈에 띄는 성과다.

1743826862974.jpg
17438268633072.jpg

TJX의 주가 성과는 이날뿐 아니라 올해, 나아가 최근 1년을 놓고 봐도 주목된다. TJX의 올해 주가 상승률은 4%로 같은 기간 8% 하락한 S&P500의 성과를 크게 뛰어넘는다. 1년 기준으로 보면 성과 대비는 더욱 선명해진다. 1년 상승률이 30%에 육박하는데 S&P500은 5%에 그친다. 경기 우려가 나오며 시세 흐름이 크게 부진했던 최근 주식시장 흐름과 상관없이 종전부터 우수한 성과를 냈다는 의미가 된다.

TJX는 미국을 중심으로 9개국에 걸쳐 5000여개의 매장을 운영 중인 이른바 '오프프라이스' 소매업체다. 쉽게 표현하면 할인 판매점인데 세계 2만1000여곳의 벤더(브랜드 자체나 일반 소매업체)와 파트너십을 맺고 관련 업체로부터 저가에 상품을 매입해 정상 소매가격보다 20~60% 할인한 가격으로 브랜드 상품을 판매한다. 주로 의류나 가정용품을 취급한다.

TJX의 사업부는 ①미국에서 의류와 액세서리 등을 취급하는 마맥스 ②미국에서 가정용품 및 관련 인테리어 제품을 담당하는 홈굿즈 ③캐나다에서 의류·가정용품 모두를 취급하는 TJX캐나다 ④유럽·호주에서 사업을 전개하는 TJX인터내셔널 등 4가지로 분류된다. 매출액 비중이 큰 곳은 미국 사업인 ①마맥스와 ②홈굿즈로 각각 매출 비중이 61%와 17%다. 마맥스는 TJ맥스, 마셜스, 시에라 등의 브랜드와 전자상거래로 구성된다. 홈굿즈는 홈굿즈와 홈센스의 브랜드를 가진다.

2. '과잉 재고'를 먹고 산다

TJX가 경제 악화 수혜주로 거론되는 것은 단순히 '지갑 사정'이 악화할수록 '싼 제품'이 많이 팔린다는 이유 때문만이 아니라 회사의 제품 조달 방식에도 있다. 이를 소위 '오포튜니스틱 바잉(기회주의적 구매)'라고 하는데 관련 내용을 설명하면 경기가 악화 시 소비자들의 구매력이 감소하고 일반 소매업체나 브랜드들은 재고를 소진하지 못하는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결국에는 판매되지 않은 재고를 처리해야 하는 압박을 받는다.

17438268636735.jpg
TJ맥스 매장 입구 [사진=블룸버그통신]

이 시점에서 TJX의 사업 모델이 빛을 발한다. TJX는 재고 문제를 안고 있는 소매점이나 제조업체로부터 과잉 재고, 소위 시즌 아웃된 상품, 주문취소 상품 등을 염가에 구매한다. 소매업체는 창고 공간을 확보하고 비용을 일부 회수하기 위해 기꺼이 판매한다. TJX는 이렇게 획득한 상품을 자사 매장에서 정상가보다 훨씬 저렴하게 판매하면서도 이익을 남긴다. 경기가 위축될수록 재고는 늘어나 이문의 폭이 더 커질 수 있다.

소매업계의 '과잉 재고'를 먹고 사는 사업 구조는 침체기에 탁월한 회복 탄력성과 방어력을 자랑한다. 이는 과거 주가 추이에서 체감할 수 있는데 TJX의 주가는 경기 위축기에 다른 소매업체들과 동반 하락했다가 급반등하는 경향을 보인다. 경제 침체기가 고조됐던 소비 관련주에 대한 무차별적 우려가 걷히면서 TJX의 강점이 빛을 발휘한 덕분이다.

예로 2008년 금융위기 당시 TJX의 주가는 연간 27% 하락했다가 직후인 2009년 한 해 81%나 급등했다. 2008년 TJX의 연간 매출액은 4% 늘어나는 등 대부분의 소매업체보다 나은 경영 성과를 냈었고 당해 연간 주당 배당금을 22%나 증액했음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급락한 것이었다. TJX의 매출총이익률의 변동은 2008년(2009회계연도<2008년 2월~2009년 1월) 약보합을 기록했다가 이듬해 2009년(2010회계연도) 24%에서 26%로 상승했다. 무차별적인 공포감이 걷히자 TJX의 펀더멘털이 주목받았다.

▶②편에서 계속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