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印 당국자 "美 상호 관세 세부 정보 공유 거부...농산물이 관건"

코투선 0 45

[방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인도와 미국 당국자가 무역 협상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인도는 내달 2일부터 발효 예정인 상호 관세의 세부 사항을 확인하고 싶어하지만 미국은 이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지 않고 있다고 인디안 익스프레스가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의 브렌든 린치 남·중앙아시아 담당 부대표 등은 앞서 이달 25일 인도 방문 길에 올랐다. 린치 부대표 등은 3일 동안 비크람 미스리 외무 장관 등 인도 정부 관계자들과 만나 관세 및 양자 무역협정(BTA) 관련 협상을 진행한 뒤 29일 미국으로 귀국할 예정이다.

매체에 따르면, 인도 정부 관계자는 "인도 측은 새로운 관세가 품목별로 적용될지 아니면 국가별로 적용될지에 대한 명확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상호 관세 이행에 대한 미국의 세부 계획을 요구했다"며 "그러나 미국 측 협상단은 인도가 피하고자 하는 상호 관세와 관련된 세부 사항을 공유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관계자는 "현재 협상은 BTA의 범위를 정의하는 문건(terms of reference)의 문구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이로 인해 4월 2일 관세가 발효되면 인도가 무역협정에 조기 서명해야 하는 압박을 받을 수 있다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이 인도의 자동차와 위스키 뿐만 아니라 농업까지 아우르는 광범위한 시장 접근을 모색해 온 가운데, 이들 부문에 대한 협상의 조기 타결을 위해 미국이 상호 관세를 지렛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매체는 "미국의 요구 사항에는 주로 자동차·위스키·특정 농산물에 대한 시장 접근성 확대가 포함돼 있는 반면 인도 측은 섬유 및 가죽과 같은 노동 집약적 부문에 대한 시장 접근성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며 특히 디지털 무역과 관련, 미국은 인도 데이터는 인도 내에 저장해야 한다는 인도의 엄격한 규정에 맞서 데이터에 대한 더 많은 접근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한편 인도와 미국은 농산품 시장 개방 관련 협의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미국 린치 부대표 등의 인도 방문을 앞두고 인도가 상호 관세 면제를 제안할 수 있지만 농업 부문에 대해서는 강경한 입장을 고수할 것이라는 전망이 컸다.

미국 CNBC는 "인도는 호주와의 무역협정에서 현지 농업계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유제품 및 농업 기반 제품을 협정 대상에서 제외했지만 이러한 움직임은 농산물을 포함한 모든 제품에 대한 관세 인하를 추진하고 있는 미국과의 마찰로 이어졌다"며 "농업 부문을 둘러싼 논의가 여전히 중요한 문제로 남아 있다"고 전했다.

인도수출기구연합(FIEO)의 아자이 사하이 사무총장은 "산업재는 농업 및 유제품만큼 많은 과제를 제기하지 않는다. 인도에서 농업은 생계를 위한 것이고 상업을 위한 것이 아니다"며 "인도는 이러한 제품에 대해 양보를 하지 않을 수 있고, 일부 양보를 하더라도 농업계나 일반 대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농산물 수입을 제한하는 양적 쿼터를 둘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CNBC에 따르면, 미국은 이미 사과와 아몬드·피스타치오 등을 인도에 수출하고 있지만 유제품과 곡식 등 시장에의 접근을 원하고 있다. 이들 품목은 미국에서 산업적으로 생산되는 것들로, 관세가 인하되면 인도의 소규모 농가가 이들과 경쟁해야 한다.
 

17431527510437.jpg
[사진=바이두(百度)]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