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뉴욕증시, 뜨거운 인플레와 상호 관세 경계에 대부분 하락…다우 0.5%↓

코투선 0 84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미국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가 12일(현지시간) 대체로 하락 마감했다. 예상보다 빠른 물가 오름세는 연방준비제도(Fed)의 제한적 금리 정책이 기대 이상으로 장기화할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를 실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 관세 부과 발표가 임박한 점도 시장 분위기를 제한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25.09포인트(0.50%) 내린 4만4368.56에 마쳤고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6.53포인트(0.27%) 하락한 6051.97로 집계됐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6.09포인트(0.03%) 상승한 1만9649.95에 거래를 마쳤다.

투자자들이 주목한 지난달 인플레이션 지표는 진전 부족을 나타냈다. 이날 미 노동부는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월 대비 0.5% 상승해 지난 2023년 8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고 밝혔다. 1년 전과 비교하면 CPI는 3.0% 상승해 지난해 6월 이후 가장 크게 올랐다. 앞서 지난해 12월 CPI는 전년 대비 2.9% 상승한 바 있다.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는 전월 대비 0.4%, 전년 대비 3.3% 각각 상승했다.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증언에 나선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은 이날 CPI 지표에 너무 많은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경계했다. 파월 의장은 또 인플레이션과 관련해 훌륭한 진전을 이뤘지만, 여전히 이것이 연준의 목표치를 웃돌고 있어 정책을 제한적으로 가져가기를 원한다고 강조했다.

17393961570262.jpg
뉴욕증권거래소(NYSE) 트레이더.[사진=로이터 뉴스핌] 2024.10.03 [email protected]

시장 참가자들은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가 올해 단 한 차례에 그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시카고상업거래소(CME) 그룹 페드워치(FedWatch)에 따르면 금리 선물 시장 참가자들은 연준이 올해 하반기 0.25%포인트(%p)의 한 차례 금리 인하에 나설 가능성을 가장 유력하게 반영 중이다.

롱보 애셋 매니지먼트의 제이크 달러하이드 최고경영자(CEO)는 "시장은 연준이 전혀 금리를 내리지 않을 가능성도 반영하고 있다"며 "이것이 주식시장이 내린 이유"라고 설명했다.

웰스파고 인베스트먼트 인스티튜트의 새미어 사마나 글로벌 주식 및 실물 자산 책임자는 "예상보다 뜨거운 CPI는 연준을 (금리 인하와는 반대로) 동결하도록 만들 것이라는 시장의 불안을 확인시켜 줬다"며 '"위험 시장은 더 높아질 수 있지만, 지난 2년보다 더 고르지 못한 궤적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채 수익률은 급등했다. 뉴욕 채권시장에서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전장보다 10bp(1bp=0.01%p) 급등한 4.636%를 기록해 지난 23일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정책 금리에 민감한 2년물 금리는 7.5bp 상승한 4.365%로 지난 13일 이후 가장 높았다. 채권 금리는 가격과 반대로 움직인다.

프린서플 애셋 매니지먼트의 시마 샤 수석 글로벌 전략가는 "오늘 인플레이션 보고서는 연준에 매우 불편한 수치가 될 것"이라며 "이것이 앞으로 몇 달간 유지된다면 인플레이션 리스크(risk, 위험)는 연준이 금리를 올해 내리기에는 상방으로 과하게 쏠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투자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할 상호 관세에도 주목하고 있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13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의 방미 전 상호 관세를 발표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테슬라와 애플, 팔란티어의 강세는 이날 주식 약세를 제한했다.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컨소시엄이 오픈AI의 비영리 부문 지배 지분 인수 제안에 나선다는 소식에 하락했던 테슬라는 이날 2.44% 상승했다. 애플과 팔란티어는 각각 1.83%, 4.24% 올랐다.

업종별로 보면 0.23% 오른 필수 소비 업종과 0.04% 상승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제외한 S&P500 9개 업종이 모두 하락했다. 특히 에너지 업종은 2.69%의 뚜렷한 약세를 보였고 원자재도 0.68% 내렸다.

특징주로는 CVS헬스가 14.98% 급등했다. CVS는 장중 16% 오르면서 지난 25년간 가장 큰 폭의 랠리를 펼쳤다. 이날 CVS는 월가의 기대를 웃도는 최근 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주가가 강세를 보였다.

'월가의 공포지수'로 불리는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지수(VIX)는 전장보다 0.81% 내린 15.89를 기록했다.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