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 "트럼프 관세정책은 '학습된 위험'…K-푸드 수출 타격 없어"
![](https://coininfu.com/img/level/zb4/admin.gif)
[세종=뉴스핌] 정성훈·이정아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정책을 바라보는 우리 시각이 마치 '학습된 위험'처럼 바라보는데, 결국 우리 농식품에 주는 영향을 크지 않을 것으로 본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지난 5일 정부세종청사 장관 집무실에서 <뉴스핌>과 인터뷰를 갖고 이같이 밝혔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일(현지시간) 캐나다와 멕시코에 25%의 보편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에는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후 중국을 제외한 두 국가에는 관세 조치를 한 달간 유예했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정책이 우리 농식품에 타격을 입힐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다.
![]() |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송미령 농림식품부 장관이 지난 5일 정부세종청사 장관 집무실에서 <뉴스핌>과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2025.02.06 [email protected] |
송 장관은 이를 '학습된 위험'이라고 칭했다. 트럼프 행정부에서 실제로 우리나라에 불리한 통상정책을 시행하지 않았는데, 지레짐작해 불안감만 키우고 있다는 뜻이다.
그는 "한국 정부는 이미 트럼프 행정부를 경험해 봤다. 1기 행정부에서도 한미FTA 재협상 등 여러 말이 무성했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우리에게 큰 영향은 없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하는 분야는 농식품 수출"이라면서도 "농식품은 일반 상품(Commodity)과 다른 특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일례로 한 사람이 유년기 라면을 먹은 경험이 있다면, 라면 가격이 상승해도 라면이라는 상품을 계속 구입한다는 것이다.
특히 송 장관은 미국의 보편관세 정책이 도리어 우리 기업의 수출 증가를 이끌 수 있다고 봤다.
그는 "미국 자국 내 물가가 높은 상황에서 관세정책을 하게 되면 물가를 더 끌어올리게 될 것"이라며 "그럴 경우 우리 수출 기업들의 가격경쟁력은 더 강화되는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K-문화가 알려진 지금 오히려 라면·김치·가공음료 등 연관식품 수출이 확대될 수 있다"며 "패키지화를 통해 시장 확장 가능성을 제고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해 12월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9%로 5개월만에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 2023년 7월(2.9%)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송 장관은 "미국의 관세정책 여파가 그리 크지 않을 것"이라고 조심스런 전망을 내놨다.
송 장관은 "트럼프 행정부에서도 수출하는 품목에 고관세를 매기는 건 스마트한 정책이 아닐 것"이라며 "미국의 통상정책에 대해 너무 조바심을 낼 필요는 없다고 본다"고 견해를 밝혔다.
![]() |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송미령 농림식품부 장관이 지난 5일 정부세종청사 장관 집무실에서 <뉴스핌>과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2025.02.06 [email protected] |
송 장관은 트럼프 행정부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국제유가가 요동쳐도 국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재차 강조했다.
그는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2%라고 하는데, 국제유가와 환율상승이 끌어올린 것으로 분석된다"며 "자세히 살펴보면 유가도 작년 이맘때와 지금과 1배럴 차이밖에 나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국제유가는 안정될 거고, 국제 곡물 가격도 생산량이 좋아 가격 안정이 지속되고 있다"며 "카카오 등 극히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 국내 물가에 상방 압력이 높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다만 미국의 통상정책이 수시로 바뀌는 만큼 촘촘한 대응을 강조했다.
송 장관은 "정부는 미국의 통상정책에 대응해 '농식품 분야 대응 TF'를 운영하고 있다"며 "다양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국내 농식품에 미칠 영향에 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대담=정성훈 경제부장, 정리=이정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