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영란은행,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하… 작년 8월 이후 세 번째 인하 결정
[런던=뉴스핌] 장일현 특파원 = 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BOE)이 6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내려 연 4.50%로 하향 조정했다.
영란은행은 지난해 8월과 11월에 기준금리를 각각 0.25%포인트 인하한 데 이어 올해 처음 열린 통화정책위원회(MPC)에서 다시 한번 인하 결정을 내렸다.
이번 인하는 영국 경제 상황에 대한 우려와 글로벌 무역·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경기 부양 대책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커진 데 따른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 [사진=로이터 뉴스핌] |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외신에 따르면 이날 영란은행 통화정책위원회 회의에서 정책위원 9명 전원이 금리 인하에 찬성했다. 이중 7명은 0.25%포인트 인하를, 2명은 0.50%포인트 인하를 주장한 것을 알려졌다.
FT는 "통화정책위에서 가장 강력한 매파로 알려졌던 캐서린 만이 오랜 비둘기파 스와티 딩그라와 마찬가지로 0.50%포인트 인하를 지지했다"고 말했다.
브랜디와인 글로벌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의 펀드 매니저인 윌리엄 본은 "시장의 일반적 예측은 8명이 인하에, 1명은 동결에 투표하는 것이었다"면서 "캐서린 만이 인하에, 그것도 0.50%포인트 인하에 투표했다는 것은 정말 큰 놀라움"이라고 말했다.
앤드루 베일리 영란은행 총재는 이날 "기준금리 인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환영받을 소식"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향후 금리 인하 행보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취했다.
그는 "우리는 영국 경제와 세계적 동향을 매우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점진적이고 신중하게 금리를 낮추는 접근 방식을 취할 것"이라면서 "낮고 안정적인 인플레이션은 건강한 경제의 기초이며 중앙은행의 임무는 그것을 보장한 것"이라고 말했다.
영란은행의 이번 금리 인하 조치는 무엇보다 영국 경제가 당면한 침체 위기와 기업들의 경영난 악화에 대한 우려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영란은행은 이날 영국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작년 4분기 -0.1%를 기록해 역성장한 데 이어 올해도 0.75% 성장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이전 전망치 1.5%에서 크게 후퇴한 것이다.
영국 경제는 내년 이후에나 GDP 성장률이 1.5%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보고 있다.
작년 7월 총선에서 승리해 14년 만에 집권에 성공한 노동당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한 예산안 개편이 기업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레이철 리브스 재무장관은 작년 10월 2025 회계연도 예산안을 발표하면서 400억 파운드 규모의 세금 인상 방안을 마련했는데 이중 250억 파운드를 기업이 부담하는 국민보험료를 올려서 걷겠다고 했다.
영란은행은 "고용주 국민보험료 인상으로 당초 예상보다 물가가 더 오를 가능성이 크며, 예상보다 일자리에 더 큰 타격을 줄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영란은행에 따르면 영국 실업률은 내년에 4.8%까지 치솟을 것으로 예측되며, 이는 11월 예측치보다 0.5%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금융시장에서는 영란은행이 올해 두 차례 정도 추가 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하지만 물가상승률이 의외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상황은 유동적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영란은행은 작년 12월 2.5%를 기록했던 인플레이션이 올해 3분기에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3.7%까지 올라간 뒤 하락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내년에는 약 2.5%, 2027년에는 2%가 될 것으로 봤다.
한편 이날 금리 인하 결정이 나온 뒤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0.05%포인트 하락해 4.39%가 됐다. 파운드화도 달러 대비 1.1% 하락한 1.237달러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