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좌충우돌 속에 유가는 결국 트럼프 밑그림대로? "연내 67달러"

코투선 0 69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과 동시에 관세 등 각종 정책으로 시장을 흔들어 놓고 있는 가운데 국제 유가가 결국 그의 바람대로 내림세를 지속할 모양새다.

지난달 미국 정부의 러시아 제재 발표 등으로 80달러에 육박하던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카드를 들었다 놨다 하는 사이 70달러 초반까지 내려왔다.

5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원유(WTI) 3월물은 전장보다 배럴당 1.67달러(2.3%) 내린 71.03달러를,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국제 벤치마크 브렌트유 4월물은 1.59달러(2.09%) 하락한 74.61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지난 주말 발표했던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한 25% 관세를 30일간 유보하기로 하면서 공급 차질 우려가 일단 누그러진 데다, 관세 조치에 맞불을 놓은 중국과의 무역 긴장이 결국은 수요 감소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 또한 겹쳤다.

17388138569158.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블룸버그]

미국 에너지관리청(EIA)에 따르면 캐나다와 멕시코산 원유는 2023년 미국 원유 수입의 52%와 11%를 각각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큰데, 트럼프의 관세조치가 보류되면서 공급 축소 위험은 일단 누그러졌다.

더구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10% 관세 부과에 중국이 10일부터 10~15% 보복관세로 맞대응한 점은 세계 최대 원유 수입국인 중국의 원유 수요를 억누를 것이란 우려를 낳았다.

캐나다와 멕시코, 그리고 중국에 대한 트럼프의 상반된 관세 행보가 원유 시장 공급과 수요 양 측면에서 유가를 끌어내린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정책도 원유 시장 헤드라인을 장식 중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직후부터 유가와 금리가 내려야 인플레이션이 누그러지고 미국 경제도 새삼 활기를 띨 것이라는 논리를 폈다. 사우디 아라비아를 향해서는 원유 공급을 늘려 유가 하락에 앞장서라고 압박하기도 했다.

이스라엘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와 정상회담 후 가진 공동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요르단과 이집트 등 다른 국가로 이주시키고 미국이 가자지구를 장악할 것이라고 밝혀 중동 국가들을 경악시켰다.

중동 맹주인 사우디 아라비아는 즉각 성명을 내고 "이스라엘의 점령 정책을 포함해 팔레스타인 주민의 이주나 영토 병합 등 팔레스타인 주민의 권리 침해는 무조건 반대한다"고 밝혔고, 다른 중동 주요국들 역시 트럼프의 제안을 "사실상 무력 침공과 다름없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선(先) 공세, 후(後) 협상' 방식을 반복하고 있는 트럼프의 전술을 감안할 때 가자지구와 관련한 돌출 발언 역시 중동(특히 사우디)과 협상카드 가운데 하나로 활용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 카드가 먹힌다면 트럼프는 사우디의 원유 가격인하(즉 원유공급 확대) 동참을 이끌어낼 수도 있다.

앞서 지난 3일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비OPEC 산유국으로 구성된 OPEC플러스(+)는 4월부터 감산을 점진적으로 되돌리는 기존 방침을 확인했다. 당장 증산에 나서지는 않겠지만 감산 일변도 정책에서 선회할 것임을 재차 알렸다.

사우디를 비롯한 중동 수니파 국가들의 달래기 위해서는 당근도 필요한데, 트럼프 대통령은 예상대로 이란을 제물로 던져줄 요량이다.  

그는 이란의 석유 수출을 제로로 만드는 등 최대한의 경제적 압박을 가할 것이라고 했다. 이란산 원유의 빈 자리는 사우디 등 주변 중동 국가들이 나눠 가질 수 있다. 이는 유가가 너무 큰 폭으로 떨어지는 것을 제한해 미국 에너지기업의 원유 증산 의지를 유지시켜 줄 수 있다.

CNBC가 최근 인터뷰한 업계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유가가 단기적으로 상승하더라도 일시적일 뿐, 장기적으로는 하락할 것이라는 의견이 적지 않았다.

씨티은행은 전반적인 공급 과잉으로 인해 올해 유가가 배럴당 67달러까지 내릴 수 있다면서, 다만 이란과 러시아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변수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란과 러시아에 대해 언제 어떤 조치를 취하는냐에 따라 유가 방향이 시시각각 달라질 수 있다고 했다.

에너지정보청(EIA)은 올해 OPEC+ 생산 증가가 수요 증가분을 앞지를 것이라면서, 올해 브렌트유 가격이 배럴당 74달러로 내리고 내년에는 66달러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JP모간은 지난해 말 보고서에서 올해 브렌트유 가격이 73달러로 떨어지고 2026년에는 61달러까지 하락할 것이란 전망을 제기했다.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