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YANTHEME_dhcvz718
해외선물 뉴스

[GAM]허브스팟 ②딥시크가 재촉한 성장 2막, "주가 새 지평연다"

코투선 0 81

이 기사는 2월 4일 오후 4시36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허브스팟 ①딥시크 '스포트라이트' 효과, AI 보편화 수혜>에서 이어짐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이미 중소기업들은 AI 도입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인다. AI 모델의 저비용화가 전개되면 이들의 수요를 빠르게 앞당기거나 한층 끌어올릴 수 있다. 세일즈포스가 중소기업 경영진 33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작년 12월)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75%가 AI를 실험 중이라고 했다. 또 '성장하는 기업군'으로 분류된 응답자의 83%가 AI를 도입했으며 또 관련 기업군의 78%가 2025년 AI 투자를 늘릴 계획이라고 답했다.

17387427564654.jpg

3. 성장성

중소기업 등으로의 AI 도입이 확산은 현재 가파르게 성장 중인 허브스팟의 외형을 한 단계 확장할 여지가 있다. 작년 3분기 허브스팟의 매출액은 6억7000만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20% 증가했다. 작년 1분기와 2분기의 매출액 증가율도 각각 23%와 20% 늘어나 가파른 매출 성장률을 실현해 보인 바 있다. 4분기 매출액은 증가율이 18~19%로 종전보다 완만해질 것으로 전망되나 이 역시 높은 수치라는 점에는 변함이 없다.

비교적 낮은 단가로 인해 지적이 제기돼 왔던 이익률도 개선의 여지가 크다. 허브스팟의 영업이익률은 작년 3분기 18.7%로 대형 경쟁사로 불리는 세일즈포스의 33.1%를 크게 밑돈다. 다만 허브스팟의 영업이익률은 2분기 17.2%, 1분기 15%을 기록하는 등 지속적으로 향상 추세를 그리고 있다. 주당순이익(비일반회계 기준)도 3분기 2.18달러로 35% 늘어나는 등 빠르게 늘고 있다. 2분기와 1분기 주당순이익 증가율은 각각 45%와 38%다.

17387427567614.jpg

*세일즈포스는 세계 전체 CRM 시장에서 점유율이 약 22%로 1위다. 허브스팟의 점유율은 5%다. 다만 중소기업(SMB) CRM 시장으로 한정해서 보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허브스팟의 점유율은 40%에 달한다. 허브스팟은 중소기업 시장에서의 탄탄한 입지를 바탕으로 대기업 시장으로 사업 영역 확장을 꾀하고 있다. 비교적 단가가 높은 대기업 고객의 확장 등을 통해 영업이익률을 장기적으로 25%까지 끌어올리는 게 목표다.

4. 밸류에이션

허브스팟은 가파른 성장이 기대됨에도 불구하고 주가 측면에서는 할인감이 부족한 게 사실이다. 일반회계기준으로는 아직 최종손익이 적자이고 밸류에이션 지표상에서도 취약한 모습을 보인다. 또 팁랭크스에 따르면 담당 애널리스트들의 평균 목표가도 현재가와 큰 차이가 없다. 애널리스트들이 판단하기에는 당장 주가 상승 잠재력이 제한적이라는 뜻이다. 투자의견 자체는 25명 가운데 20명이 매수, 5명이 중립 의견을 피력하는 등 매수론이 압도적이지만 말이다.

다만 최근 강세론을 내놓은 전문가들의 의견을 보면 허브스팟에 대해 새로운 국면이 열렸다는 평가가 많다. 현재 허브스팟의 주가는 2021년 11월에 기록한 최고가 852.08달러 대비 10% 낮은 수준인데 당시 최고가를 경신한 당시에는 클라우드 수요 급증이 핵심 동력이 됐다. 강세론자들은 AI 기술의 보급 확대가 속도를 내면 허브스팟이 신고가를 경신하는 경우도 충분히 가능하다고 본다.

17387427570628.jpg

허브스팟의 밸류에이션은 개선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크다는 게 강세론자들의 주장이다. 작년 허브스팟의 잉여현금흐름 추이를 보면 3분기의 경우 1억2500만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106% 늘어나는 등 큰 폭으로 증가했다. 2분기와 1분기에는 각각 79%와 94% 늘었다. 모두 애널리스트들의 컨센서스를 웃돌았다. 회사의 현금흐름 개선 속도가 예상보다 훨씬 빠르게 전개되고 있는 셈이다.

가파른 잉여현금흐름 증가세는 허브스팟이 클라우드 구동형 소프트웨어 기업(SaaS)으로서의 비즈니스 모델이 안정적으로 자리 잡았음을 나타낸다. 통상 허브스팟 같은 SaaS 기업은 대형 고객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초기 투자와 마케팅 비용이 크게 발생해 현금흐름이 악화하는 경우가 많다. 허브스팟은 오히려 큰 폭의 개선세를 보임으로써 기존 중소기업 시장에서의 안정적인 수익과 함께 대형사 시장에서의 안정적인 확장을 시사하고 있다.

[email protected]

프린트

Author

Lv.1 코투선  스페셜
400 (40%)

등록된 서명이 없습니다.

0 Comments
  메뉴
  인기글
  통계청